Fusion 썸네일형 리스트형 Fusion의 Generation eyeon에서 퓨전뿐만이 아니라 Generation도 내놓았네요. 더보기 Purge Cache의 활용2 퓨전에서 소스(매트 등등..)작업을 하다가 그 파일이 일부 수정될 경우가 있는데, 그럴 때 어떻게 하면 될까요? 기존에 내가 사용하던 방법은 다시 Loader를 꺼내서 연결해주거나 Loader의 File에서 폴더를 눌러서 다시 연결해 주거나 게 (참조로 위 방법을 잘못 사용하면 클립의 리스트가 한 개가 아니라 여러 개일 수가 있습니다. Enable Clip List를 체크하면 로드(Load)된 파일의 수를 볼 수 있습니다. ) 혹은 퓨전을 다시 껐다가 켜는 방법을 사용했었습니다. 하지만 이제 purge cache를 이용하여 쉽고 빠르게 수정된 이미지로 대체할 수가 있습니다. 그림 소스 포토샵에서 수정 Purge cache해줌 Purge cache이후에 Re-render Current Frame해주면 아래.. 더보기 Purge cache의 활용 동영상 강좌를 보던 중에 모르던 부분 발견… 파일을 새로 업데이트했을 때 purge cache해준 다음에 Re-render current frame해주면 됩니다. *purge - 깨끗이하다, 제거하다 영상을 보면 저렇게 타임라인에 +를 해서 프레임이동이 가능한데, 실제로 해보면 x 동영상 작업자의 퓨전 포맷은 우리는 5.3 build 55 타임라인을 제외하고, 다른 툴 메뉴에서 적용은 가능했습니다. Ex)resize에서 1024 +10해주면 1034가 됨. 더보기 SimpleColorPicker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더보기 E-Mail Comp 작업한 comp를 e-mail로 보내주는 스크립트입니다.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뜹니다. 받고자 하는 메일 주소를 적어줍니다. (hanmail로는 전송이 되지 않아서 Gmail로 다시 지정해주었습니다. 보내기로 지정해준 메일에 가서 확인을 해보면 메일이 보내져 있고, comp파일이 첨부되어 있습니다. 다운로드를 눌러보면 comp를 받을 수 있습니다. 더보기 Missing Frame Missing frame이 없는 Loader Loader를 선택하고 script – Missing frame을 눌러줍니다. Console탭으로 자동적으로 이동합니다. 결과를 보면 0입니다. 테스트의 확인 결과를 위해서 임의로 Missing frame을 만든 Loader (임의로 5,15,22 등등을 지웠음) Loader를 선택하고 script – Missing frame을 눌러주면 Console탭으로 자동적으로 이동하고 결과 창이 함께 뜹니다. 문제없는 Loader(1)와 missing frame이 있는 Loader(2)가 동시에 있을 때. 위에서와 마찬가지로 missing frame 스크립트를 실행해줍니다. 그러면 위의 그림과 같은 창이 뜹니다. 잘 보면 Loader(1)은 괜찮다고 하고, Loader.. 더보기 정말 유용한 Change Paths *****(별 다섯 개!!!) 서버가 바뀌고, 혹은 백업하면서 경로가 깨지는 경우가 생기는데 수동으로 하나 하나 고쳐준다면 스트레스와 낭비되는 시간은 엄청 날 것입니다. 정말 경험해본 사람은 눈물이 날 정도로 고마운 스크립트가 바로 Change Paths입니다. 위의 그림에서 6번째에 Change Paths가 있습니다. 일단 Loader, Saver, Proxy, Check If New Path is Valid가 다 체크되어 있는데 Loader를 제외하고 체크를 해제해 줍니다. Enter pattern to search for탭에는 현재 적혀 있던 원래 경로를 적어 주고, Enter the replacement path에는 바꿀 경로를 적어줍니다. 그리고 OK 를 눌러주면 경로가 바뀌어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조로 한글인.. 더보기 Change paths와 함께 백업 시에 정말 유용한 Archive Composition **********(별 백만개!!!)**** 작업이 끝나게 되면 하는 작업이 바로 백업일텐데요. 백업을 하기 위해서 늘 하드를 새로 장만하기도 하고 그래도 모자라는 하드에 쩔쩔 매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필요한 것만 백업해서 정리할 수 있다면 저장공간을 절약할 수 있겠죠. 바로 그 고민을 어느 정도 해결해 줄 수 있는 스크립트 Archive Composition이 아닌가 싶습니다. 스크립트 버튼을 누르면 우선 위와 같은 그림이 뜹니다. 일단 넘어가볼게요. OK를 눌러주었더니 위와 같은 그림으로 이동했습니다. 컴포지션의 최종 파일 사이즈와 사용된 클립의 수가 계산되어 나오고 계속 진행하려면 OK를 눌러주고, 취소하려면 Cancel을 눌러달라고 하네요. OK해보겠습니다. 이제 백업을 할 위치를 새로 지정해주.. 더보기 General에 대한 단축키와 설명 Space Starts or stops interactive playback. 플레이해주거나 스톱시켜줍니다. ( 현재 플레이 되고 있지 않은 상태. ) 참고로 Shift + Space를 눌러주면 거꾸로 플레이 됩니다. ( 현재 플레이 되고 있는 상태. ) 이 버튼들은 공통된 것들이기 때문에 잘 아시리라고 생각합니다~ Ctrl+N Creates a new flow. 새로운 플로우 창을 생성해줍니다. 기본적으론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기본 셋팅의 플로우창 모습을 바꾸는 것은 아래 단축키의 모습처럼4가지가 가능합니다. 단축버튼 그림의 2번째가 기본 모습이네요. 물론 여느 프로그램처럼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설정할 수도 있겠죠. (분리된 경계에 다가가면 위의 그림과 같은 화살표가 보입니다. 원하는대로 드래그해주.. 더보기 General의 Ctrl+a 전체 선택 Ctrl+A Selects all tools in the flow, or all keys in a selected spline. 전체선택. 스플라인 창에서 선택하면 키가 다 선택되고, 플로우 창에서 선택하면 노드가 다 선택됩니다. 프레임을 앞뒤로 늘이거나 줄여서 작업한 프레임의 키를 움직여야 할 때 사용한 적이 있습니다. (그림은 flow창에서 전체를 선택했을 때의 모습입니다. ) 마찬가지로 spline창에서 전체를 선택했을 때의 모습입니다. 전체를 선택해서 옮겨주는 방식은 boujou에서 퓨전 comp파일로 저장을 했을 때 등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더보기 프레임 이동하는 단축키들 ] Moves current time forward one frame. 한프레임 앞으로 이동(←)합니다. [ Moves current time backward one frame. 한 프레임 뒤로 이동 (→)합니다. Ctrl+[ Changes current time to the first frame in the render range. 맨 처음 프레임으로 이동합니다. Ctrl+] Changes current time to the last frame in the render range. 맨 마지막 프레임으로 이동합니다. Alt+] Advances to the next keyframe. 다음 키 프레임으로 이동합니다. Alt+[ Returns to the previous keyframe. 이전 키 프레임으로 .. 더보기 빈폴더에서 보기 방식 설정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해보면 View메뉴와 Icon Size메뉴가 있습니다. 거기에서 크게 볼 건지, 중간으로 볼 건지, 작은 사이즈로 볼 건지 그것도 아니면 리스트로 볼 건지 등등을 정해줄 수 있습니다. 더보기 Add Favorite경로를 지정하여 저장해주는 센스 좌측의 Path Maps이나 Favorites를 이용해주면 자주 사용하는 경로로 빠르게 접근 할 수 있어서 용의합니다. 원하는 경로로 이동해서 좌측 상단에 있는 Add Favorite버튼을 눌러주면 지정이 됩니다. 일단 저장하면 위와 같은 퓨전 comp파일이 생성됩니다. 자동으로 저장된 autocomp파일도 보이네요. (퓨전 파일의 확장자는 .comp입니다.) 더보기 Fusion의 Auto Save기능 저장은 정말 우리 같은 작업을 하는 사람들에겐 중요한 요소. 저장을 잘 하지 않는다면 Auto Save기능을 활용하는 것은 어떨지… 치명적인 오류로 강제 종료 될 때 작업을 처음부터 하지 않으려면 꼭 셋팅 해주도록 합니다. 방법은 메뉴 File – Preference-General에 갑니다. Auto Save를 체크해주고 저장 간격을 적어줍니다. 길고 복잡한 로토 작업을 할 때 종종 다운되는 경우가 생기는데 Auto Save만이 구세주입니다. 더보기 General – 뷰어에서 화면을 보는 다양한 방법 Ctrl+1 Scales the active region to 100% size. 100% 사이즈로 보여줍니다. Flow뷰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Ctrl+F Scales the active region to fit in the view size. 현재의 뷰어 크기에 맞게 맞춰줍니다. 옆의 Fit 을 눌러줘도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만약에 Flow뷰에서 Ctrl+F를 눌러주면 찾기(Find) 메뉴가 나와버립니다. 위 메뉴에서는 개인적으로 100%와 Fit 사이즈를 제일 많이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화면을 볼 수 있는 크기는 위의 이미지와 같은데 마지막 Custom..을 눌러서 원하는 크기로 볼 수도 있습니다. (Custom..을 누르면 위의 그림과 같은 창이 뜨는데 원하는 스케일을 적어주면 됩니다.) Nu.. 더보기 퓨전 사용에 맞게 타블렛 드라이버 설정하는 방법 퓨전을 설치한 다음에 타블렛 셋팅을 합니다. 마우스로 작업을 할 수도 있지만 타블렛을 이용하여 작업하면 훤씬 손목과 팔이 덜 피곤하고 일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그림과 같이 해당 경로로 갑니다. 셋팅을 아래 이미지와 같이 맞춰주면 됩니다. 더보기 Particle부가적인 것들 설명.. Particle이 이미지 모양의 픽셀로 나타남 여러 개의 Particle을 합쳐주는 역할 Particle 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패턴 새로 정의 설정된 영역에 들어온 particles을 소멸시킴. Particle이 각각 Emitter속성을 가지고 새로운 입자를 만들어냄. Direction에 의해 Particle입자를 끌어들이는 기능 Particles의 불규칙한 움직임을 만들 때. Particles이 포인트로 모여들거나 흩어지게 함. Particle이 접촉한 면의 영향을 받아 튕겨나가는 Bounce 현상 조절. Particle로 생성된 입자의 진행방향을 자유롭게 설정. 설정된 Particle을 새로운 particle 입자로 만들어주는 기능. 설정된 영역의 Particles에 원심력을 주어 입자를 회전시킴. .. 더보기 Particle기본적인 사용 Pipeline 제일 처음 p Emitter 부가적인 것들 중간에 추가 마지막에 P Render p Emitter) Particle입자가 나오는 분출구 역할. P Render) particle 입자를 이미지로 확인 시켜주는 역할 더보기 군중 외에 particles를 이용한 예 원래 particle은 입자라는 뜻이므로 기본에 충실하면 이펙트에 더 적합. 군중 외에도 연기, 구름, 비, 폭죽 등등… 다양한 particle 류로 응용 가능. (반짝이는 글씨) (담배 연기) (불꽃놀이) (구름) 사진 출처 : 구글에서 검색한거 같은데 모르겠네요.. 죄송합니다 ㅠ_ㅠ 더보기 Particle을 이용한 군중 작업 시 참고사항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더보기 이전 1 2 다음